보증기관 활용 계획 중인 기업이 유의할 점

보증기관은 시중은행에서 직접 자금 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 회전을 돕기 위해 다양한 채무에 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신용보증기금이나 기술보증기금이 있습니다.

기업의 자금 조달, 특히 운전자금을 활용하려는 기업이 보증기관을 통해 보증서 상담을 하려면, 과거에는 주거래은행을 통해 보증기관을 컨택하거나, 접수를 대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최근에는 보증 심사에 외부 기관이 개입하는 것을 문제 삼아, 기업이 직접 온오프라인으로 해당 보증기관에 대출을 위한 보증 심사를 요청해야 합니다. 그럼 절차에 따라 인터뷰를 하고, 서류를 요청하여 기업을 평가하여 보증 여부와 정도를 정하게 됩니다.

1. 외부 컨설턴트의 제3자 개입은 불법.

은행의 개입도 불편해서 기업의 직접 문의와 접수를 유도하고, 온라인 신청을 활성화시키고 있는 보증기관의 방향과 취지를 감안한담녀, 당연히 민간 외부 컨설턴트의 개입은 있을 수 없습니다.

아직도 많은 브로커들이 ‘컨설팅’이라는 명분으로 보증 심사나 대출 심사에 마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처럼 사기를 치거나, 사업계획서 작성이나 문서 대행 등을 강조하며, 심사에 개입하거나 대리하며 수수료나 보험 가입을 조건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법입니다. 사업계획서에 의해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외부에서 제3자가 심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2.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공백기인 1, 2월.

통상 신보와 기보는 점포 이동, 보직 변경, 직무 교육 등과 KPI 발표 등의 이슈로 1월과 2월 보증 심사 업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지점이 아니라 센터를 통해 지원되는 일부 보증 업무는 연초에도 심사가 진행되지만, 대부분의 지점을 통해 심사가 이루어지는 운전자금이나 시설자금 목적의 보증심사는 KPI가 확정되어 지점에 내려가야 업무가 시작됩니다. 때문에 1, 2월에 보증서 대출을 해 주겠다는 식으로 접근하는 브로커에게 속지 않아야 합니다.

출처: 2023년도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 안내 자료 중

3. 보증 한도. 신용등급과 자본금, 매출 등에 의해 보증한도가 정해짐.

브로커들이 무분별하게 보내는 각종 브러쉬어나 안내문을 보면 ‘한도 00억, 금리 1~2%’ 라는 식을 기재해 정책자금을 안내할 수 있다고 기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출이라는, 특히 기업대출이라는 제도는 ‘대출 신청기업의 원금 상환 능력과 신용등급’이 금리와 한도 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책적 요소도 반영될 수 있지만, 극히 제한적인 경우입니다.

즉, 기업이 기관에 신용평가를 의뢰하고, 각종 증빙 서류들을 제출하기 전이라면 한도나 금리 등을 언급하는 것은 억지이며, 사기입니다.

경제 상황이나 금융 환경이 중소기업의 자금 수요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상황이 더 급한 경우도 많습니다. 예적금처럼 내가 구하는 상품의 조건이 사전에 확인되는 수신상품과 다르게 ‘대출’이라는 여신상품은 차주에 대한 평가와 금융기관 및 영업점의 의사결정에 의해 금리와 한도가 신청 이후 사후적으로 결정됩니다.

대출을 통해 자금 조달을 계획하는 기업이라면 일단, 주거래은행이나 사용 중인 보증기관을 통해 대출 심사를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후 추가적인 대응을 모색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Scroll to Top